작품상, 감독상 등 주요 4개 부문 수상
아카데미상의 변화 이끌어낸 기적 평가

▲ 작품상을 바기 위해 무대에 오른 제작진과 출연진

한국영화 100주년을 기념이라도 하듯 영화 ‘기생충(현지명 Parasite)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 주요 4개 부문 상을 수상했다.

우리 시간으로 10일 오전에 열린 제 92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한마디로 ‘코리아’ 열풍 그 자체였다. 각본상과 최우수국제영화상을 수상할 때까지만 해도 이 정도면 체면은 세웠다고 느낄 즈음, 봉준호 감독이 최우수 감독상 수상자로 발표되면서 장내는 순식간에 코리아가 연호되며 기립박수가 이어졌다.

봉준호 감독은 우리말과 영어를 섞어 가면서 특유의 유머러스한 소감을 이어갔고 통역을 들은 관객들의 박수가 끊이지 않았다.

대미를 장식한 건 최우수작품상이었다. 세계의 많은 영화인들이 유력한 후보로 꼽은 두 작품 중 샘 멘데스 감독의 <1917>을 예상하고 있을 때 시상자로 나온 대배우 제인 폰다는 “Parasite”라고 호명했다. 봉준호 감독과 제작자 곽신애, 송강호, 조여정 등 출연진들 모두 벌떡 일어서 환호했고, 관객들도 이에 호응해 기립박수가 길게 이어졌다. 대한민국 영화가 상업영화의 본거지 L.A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순간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을 그린 전쟁영화 <1917>이 음향효과상과 촬영상 등 3개 부문 수상을 기록했지만, 영화의 기술적인 부문에 대한 수상이었을 뿐 아카데미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각본상과 감독상, 작품상 등을 휩쓴 <기생충>의 위용에는 대적이 되지 않았다.

세계영화계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헐리웃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아카데미상 시상식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영화종사자나 영화를 좋아하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대중영화 축제이다. 아카데미위원회 회원들 중에서 선정된 유권자들의 투표로 수상자가 결정되는데, 회원 대다수가 백인인 탓에 유색인종의 작품들이 상대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시상식은 흑인들의 성토장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아카데미위원회의 보수적 성향이 다소 완화되면서 유색인들의 수상이 다소 늘기는 했다. 지난해에도 멕시코 영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로마>가 최우수외국어영화상과 감독상을 받았다. 하지만 아카데미상 역사를 통틀어 외국어영화상(이번부터 국제장편영화상으로 명칭이 바뀜)을 받은 작품이 감독상과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한 경우는 처음이었다.

마지막 시상자로 나온 여배우 제인 폰다가 시상에 앞서 “이제 아카데미도 변화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는 멘트를 할 때 순간적으로 <기생충>이 상을 타겠다는 느낌을 받은 사람이 많았다.

▶ 한국영화 100주년 기념비적 쾌거

<기생충>은 우리 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포함하고 있지만 단순한 선악으로 표현하지 않았다. 처절한 빈민층과 최상류 가정을 대비시키지만 오히려 지탄받는 것은 빈민층이다. 이들은 온갖 계략을 써서 상류층 가정에 빌붙으려 하지만 사악한 방법으로 접근하다가 파멸한다. 한국 내 개봉에서 천만 관객을 동원했으며, 칸느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영국아카데미 각본상과 작품상, 골든글로브 최우수외국어영화상 등 세계의 유수한 영화제와 시싱식에서 수십 개의 트로피를 받아왔다.

1919년 <의리적 구토>라는 영화가 우리나라 최초의 영화로 인정받음으로써 지난해는 한국영화 100주년이 되는 해였다. 지난해 영화를 평가하는 마지막 이벤트인 아카데미시상식에서 <기생충>이 대미를 장식함으로써 우리 영화계에 대한 세계적인 평가가 격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저작권자 © 양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