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주식시장의 화두는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다.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공매도 전면 금지 정책에 이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한국형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국내 증시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힌다. 한국 기업의 주가가 비슷한 수준의 외국 기업 주가에 비해 저평가 받는 것을 의미한다. 심각성을 인지한 정부도 이번엔 제대로 해보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저평가 받는 국내 기업의 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기업의 가치를 올리는 게 골자다. PBR이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지표다. 해당 기업이 보유중인 순자산을 기준으로 주가가 고평가 혹은 저평가 상태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즉 PBR이 1 미만인 기업은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의미다. 실제 우리나라 상장사 70%의 PBR이 1 이하일 정도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달 26일, 정부가 한국 증시 부양을 위해 준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한국 상장기업의 가치를 제고하고 증시 선진화를 위해 자율공시를 유도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방안에 따르면 약 1600개 코스피·코스닥 상장사는 올 하반기부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스스로 수립하고 연 1회 자율 공시한다.

금융당국은 매년 5월 기업가치 제고 우수기업 10여곳을 선정해 기업 밸류업 표창을 수여하고 표창을 받은 기업에 5종의 세정지원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모범납세자 선정 우대, 연구개발(R&D) 세액공제 사전심사 우대, 법인세 공제·감면 컨설팅 우대, 부가·법인세 경정청구 우대, 가업승계 컨설팅 등 5종 세정지원이다. 또한 공시 우수 기업은 '코리아 밸류업' 지수 편입 등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의 이 정도의 밋밋한 혜택으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는 주장들이 지배적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일본의 성공적인 증시 부양 정책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일본 수준의 강제성을 동반한 강력한 대책이 나올 거라 예상했지만 베일을 걷어보니 의무는 없이 미약한 인센티브 위주가 전부였다.

역시나 코스피는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 후 4거래일째 2650선에 횡보하고 있다. 지난달(2월1~27일) 외국인은 국내 코스피에서 10조9583억원을 순매수했으나 기관이 7조8513억원, 개인이 2조9514억원 순매도하면서 주식시장은 시큰둥한 반응이다.

하지만 한국 보다 한발 앞서 기업 가치 제고 정책을 펼친 일본은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가 최근 3만9000선으로 올라서는 등 2014년부터' ROE(자기자본이익률) 향상'시키고 'PBR 중심의 투자정책'과 '투자자 소통강화' 등을 위해 노력해온 밸류업 정책이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10년 전 부터 밸류업 프로그램 정책을 꾸준히 준비해 온 결과다.

한국 증시도 주요국 대비 저평가된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 문제를 해소하려면 정부의 촘촘한 밸류업 프로그램 정책지원이 우선이다. 기업과 투자자도 단기 이익에 몰두하기보다 장기적 투자관점을 가져야 한다.

한국 증시는 2021년 사상 최고치인 코스피 3300을 기록한 바 있다. 이번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상장기업은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자들은 부가 늘어나는 선순환 자본시장이 만들어지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양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