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초저출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운명이 달려있다"면서 모든 정책을 초저출산 대책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하라고 강하게 지시했다.

초저출산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2022년 현재 OECD 유일의 합계출산율 1미만(0.78)의 국가로 세계에서 걱정할 정도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1960년 합계출산율은 5.95였으나 2020년 기준으로 0.84(27만2천337명)로 떨어졌다.

이후 합계출산율은 점차 감소해 1970년 4.53(100만6천645명), 1980년 2.82(86만2천835명), 1990년 1.57(64만9천738명)이었다. 2000년에는 합계출산율 1.48까지 떨어져 출생아수는 64만89명이 됐고 2010년에는 1.23(47만171명), 2020년에는 0.84(27만2천337명)로 떨어졌다.

정부 관계자는 "지금부터라도 초단기, 단기, 장기, 초장기 대책을 단계별로 세워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초저출산 문제 해결에 새로운 출구를 찾겠다"고 말했다.

특히 저출산으로 "2040년이면 학생수와 군복무인력 등 일자리 측면에서 인력급감 현상이 심각해 질 것이다"라는 경고가 나왔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현재 합계출산율 수준(0.7명)이 2026년 이후까지 지속될 경우를 상정한 인구 감소 추계를 내놓았다.

자료에 따르면 2040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4,916만 명으로 건국 이후 처음으로 5,000만 명 아래로 인구밀도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이는 2021년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를 예측한 중위 추계 5,019만 명보다 103만 명이 더 줄어든다는 수치다.

학령인구(6∼17세)는 2022년 538만 명에서 268만 명으로 급감할 것으로 분석됐으며 초등학교의 경우 학급당 학생 수는 지난해 21.1명에서 10.0명으로 감소한다.

군대의 경우에도 신규병력이 지난해 18만6,000명에서 10만1,000명으로 5000명 정도가 감소할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 나온 터다.

고령화시대 저출산을 막기 위해 그동안 정부가 천문학적 예산을 투입하며 안간힘을 쏟아 온데 반해 인구수가 이 같이 급감한다는 것은 국가적 난관이자 난제로 부각됐다.

저출산에 따른 인구절벽 현상은 정부가 거액 예산을 투입하는 것만으로는 개선할 수가 없다는 사실은 선행 과정을 통해 입증이 됐다.

시민들은 "인구증가는 정부의 정책과 노력만으로 실현될 수 있는 게 아니라 언론 등 사회 각계의 노력과 분위기 조성이 뒤따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놓았다.

특히 60대 이상 연령층은 현재 저출산을 가로막는 요인에서 각종 매스미디어의 역할론을 부각하며 M방송의 다큐멘터리 문제점을 지적해 많은 국민의 공감대를 얻고 있다.

이들은 M방송의 '나 혼자 산다'는 프로그램을 대표적으로 꼬집었다. M방송은 독신 남녀와 1인 가정이 늘어나는 세태를 반영해 혼자 사는 유명인의 일상을 관찰카메라 형태로 담는 다큐멘터리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비교적 젊은 세대의 시청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이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은 현재 우리 사회가 문제시하고 있는 은둔형 젊은이들을 양산 한다는 비판을 사고 있다.

이 같은 극적 분위기는 결혼과 출산이란 단어를 밀쳐 내며 '혼밥'과 '혼술' 등 이름조차 생소한 신종어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1960~70년대만 하더라도 다출산 사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산아제한이 이루어졌던 대한민국이지만 불과 반세기 만에 고령화와 저출산의 인구절벽 난관과 난제에 봉착했다.

국가적 인구의 증가라는 중대 과제를 선행하기 위해서는 '나 하나가 아니라 우리 둘이라서 더욱 행복한 세상'이란 분위기 편승을 위해서는 매스미디어의 역할이 그만큼 커진 것이다.
 

저작권자 © 양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