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룡 양산도시재생지원센터장 인터뷰

센터, 민·관 협력사업 총괄·조정 역할
도시재생사업 "실행보다 운영 중요"

지난 2013년 6월 도시재생특별법 제정은 재개발, 뉴타운으로 대표됐던 도시정책을 말 그대로 '재생'으로 탈바꿈시켰다. 즉 공공이 주도해 대도시 외곽에 신도시를 조성하던 ‘개발’방식에서 민관이 협력해 노후한 도시를 살리는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현 정부는 작년부터 오는 2022년까지 5년간 50조 원을 인구감소와 침체를 겪는 도심에 투자해 문화·주거·소비 기능을 살리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을 발표했다. 이에 양산시는 2년 연속 사업에 공모했지만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시는 올해 도시재생뉴딜사업 공모를 앞두고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열었다. 그리고 올해 1월, 창원도시재생지원센터 사무국장과 김해도시재생지원센터장을 역임한 도시재생 분야 베테랑 김남룡 박사가 양산도시지원센터장으로 부임했다. 김 센터장을 만나 ‘양산의 도시재생’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양산의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양산이 가지는 고유성과 정체성을 찾아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 도시재생이다. 통도사는 매년 20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다. 하지만 그들은 도심을 찾지 않는다. 소위 사람들이 스쳐만가는 도시인 셈이다. 그들에게 양산에 오면 꼭 봐야 할 것(볼거리), 꼭 먹어봐야 할 것(먹거리)등을 찾아내 양산만이 가진 고유성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2천 년이 넘는 양산의 역사를 도시전략계획에 접목해 양산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것이 도시 재생이다.

△양산이 도시재생에 주춤했던 이유는?
양산은 신도시 형성으로 계속 인구가 늘었기 때문에 스스로를 ‘성장도시’로 봤다. 따라서 개발에 중점을 두다보니 도시재생에는 주춤했다. 하지만 더 이상 성장도시는 없다. 인구절벽 시대를 맞아 양산 인구 증가세도 주춤한 상황이다. 대표적인 제조업도 어렵고 항노화 사업도 불투명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도시재생으로 눈을 돌려 원도심이 가지는 고유의 정체성과 상징성을 살려야 한다.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역할은?
양산의 도시재생을 총괄·조정(코디네이터)하는 역할이다. 도시재생은 민·관 협력사업이다. 둘 사이를 절충하는 역할로 보면 좋겠다. 구체적으로는 활성화 지역 선정 후 주민교육, 주민 조직 및 자치(거버넌스) 구축, 양산의 사회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대외 네트워크 구축, 주민역량강화 등을 한다.

△양산 도시재생사업 주안점은?
먼저 웅상이 양산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교통 확충 및 생활권 확대로 원도심과의 물리·심리적 거리 줄여야 한다. 또, 주민들의 ‘협조’를 통한 주민역량강화에 힘쓸 생각이다. 도시재생사업은 주민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사업이 끝난 후에도 계속 운영해 나가야 하는 주체가 ‘주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민의 의식고취를 통해 자부심을 높이고, 주민들의 필요(needs)를 통한 정책화에 집중할 생각이다. 

△도시재생사업이 성패는?
국토부 공모사업 심사기준이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만큼 도시재생사업은 실행보다 운영단계가 더 중요하다. 실제로 많은 사업들이 실행 후 운영이 어려워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많다. 성공적 도시재생이 되기 위해선 사업이 끝난 후에도 지원센터를 재단법인화 해 역량을 키우고 전문가 중심으로 현장업무를 지속적으로 지원 및 컨설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양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